전기차를 타고 다닐 때, 가끔씩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 속도가 확 줄어드는 경험을 하신 적이 몇 번 있으실 겁니다. 이래서 주행감이 좀처럼 익숙해지지 않아 적응하는데 오래 걸렸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는데요.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도 관성에 의해 속도가 어느 정도 유지되다 서서히 줄어드는 엔진차와 다르게 전기차는 가속 페달을 밟지 않으면 속도가 금방 줄어드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런 일이 왜 발생하는 걸까요?
회생제동이란?
회생제동은 전동기가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바꾸어이를 전원으로 되돌림으로서 제동을 행하는 경제적인 시스템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자동차가 정지하는데, 이 정지하는 힘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입니다.
전기차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어떻게 사용하지?'라는 생각이 드실 텐데요. 사실 그렇게 복잡한 시스템도 아닙니다. 우리가 내연기관차를 운전하듯이 회생제동기능 사용법을 익히실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브레이크를 밟기만 해도 자동으로 프로그래밍된 일정한 규칙에 의해서 스스로 작동되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의 경우에는 변속기가 없고 오로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주행을 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시내 주행 시 연비의 하락이 거의 없고 반대로 정차, 출발이 적은 고속주행을 할 때는 오히려 연비가 떨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생제동' 방식을 쓰는 것입니다.
회생제동기능이 편리하기도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회생제동이 작동되고 있을 때는 브레이크등이 안 켜질 수도 있다.
회생제동을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첫 번 째는 간단하게 브레이크를 밟는 방법과 두 번 쨰는 회생제동 강도를 높게 설정해서 엑셀을 서서히 떼면서 감속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원페달 드라이빙'이라고 하는데, 현대와 기아 자동차에서는 '아이페달'모드라고 합니다.
아이페달 모드 - STOP 정차 모드에서는 브레이크등이 작동하지 않는다.
아이페달 모드 - AUTO HOLD 정차 모드에서는 브레이크등이 작동한다.
아이페달 모드를 환경에 따라서 쓴다면 정말 편리한 기능이지만 브레이크등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반쪽짜리 기능이겠죠. 혹시나 브레이크등이 작동되지 않는다면 뒤에서 오는 차량과 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야간 운행 시에는 아이페달모드로 회생제동 감속 정지를 한다면 반드시 AUTO HOLD 기능을 작동시켜서 사고방지를 해야 합니다.
회생제동이 자동으로 OFF 되는 상황에 주의할 것.
전기차 운전을 하다 보면 가끔 울퉁불퉁한 노면을 지나갈 때 자동차가 쭉 미끄러지는 듯한 기분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사실 이 느낌은 실제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이 아니라 회생제동이 OFF 되면서 브레이크와 회생제동의 제동력 차이가 생겨서 실제로 자동차가 앞으로 뻗어나가는 현상입니다. 회생제동이 OFF가 되는 이유는 울퉁불퉁한 노면에서 좌우 바퀴의 회전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꺼버렸기 때문입니다.
이런 작동원리를 숙지하고 있지 않는다면 이런 조건에 대비를 못한 상태에서 비포장도로나, 눈길, 빗길 운전을 할 때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습니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회생제동 기능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동일하기 때문에 이런 기능을 미리 알고 숙지해서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회생제동의 장, 단점은?
장점
배터리 자가 충전
모터의 출력으로 생기는 주행에너지를 이용해서 역으로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비가 크게 상승합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는 주행에너지를 제동 하기 위해 오히려 디스크 패드의 마모를 불러오고 연료의 소모르 크게 발생하지만, 이런 것에 비하면 정말 좋은 기술이죠.
소모품 수명 증가
고속주행 시 제동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변속기 자체가 없으므로 소모품 관리에 정말 탁월합니다. 일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브레이크의 수명을 2배 정도 더 올릴 수 있겠네요.
운전 쾌적성
장거리 운행을 할 때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데 회생제동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자동차를 제동 하는 체계가 훨씬 단순화됩니다. 제동의 개념이 아닌 충전의 개념으로 바뀌게 때문에 차량 운행이 훨씬 쉽습니다.
단점
전에는 단점이 크게 도드라졌는데 요즘 출시되는 차량들은 자동차 스스로 회생제동 수준을 판단해 제어하도록 기술을 고도화시키고 있습니다. 도로 상황이나 교통량 등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서 자동차가 스스로 적절한 회생제동 양을 정하도록 하는 것인데요. 현대차그룹에서 '아이오닉 5'에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 2.0'을 적용해서 불필요한 브레이크 조작이 약 80% 줄어들고, 불필요한 가감속을 줄여서 실제 연비를 2% 정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메르세데스 벤츠가 출시한 '더 뉴 EQA'에는 회생제동을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D오토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D오토 모드는 레이더 데이터를 바탕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계산해 자동으로 회생제동 정도를 결정해 줍니다. 앞차와 거리가 충분할 경우 마일드한 회생제동을, 앞차와 거리가 짧으면 강력한 회생제동을 걸어서 속도를 줄여줌으로써 효율적인 주행을 도와줍니다.
최근 차량들은 거의 모두 단점을 최소화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없다시피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EV6 가격, 제원, 단점 (0) | 2023.06.26 |
---|---|
폭스바겐 ID4 가격, 제원, 단점 (0) | 2023.06.25 |
자동차 급발진 원인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0) | 2023.06.23 |
타이어 갈변현상, 어떻게 해야될까? (0) | 2023.06.22 |
쏘렌토 하이브리드의 단점은? 장점도 알아보자 (0) | 2023.06.21 |
댓글